<<Spring>>

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래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장점>

1. 경량컨테이너

2. IOC(제어역행)

3. Di(의존성 주입)

4. AOP(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Spring Boot>>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기능이 많은만큼 환경설정이 복잡하다. 이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들을 위해 나온 것이 바로 스프링 부트이다.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의 많은 부분을 자동화하여 사용자가 정말 편하게 스프링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프링 부트 starter dependency만 추가해주면 바로 API를 정의하고, 내장된 탐캣이나 제티로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실행할 수 있다. 실행 환경이나 의존성 관리등의 인프라 관련 등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차이점>

1. 내장 톰캣을 사용하기 때문에 따로 톰캣을 설치하거나 버전을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2. starter를 이용한 dependency 자동화

3. XML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4. jar file을 이용해 자바 옵션만으로 손쉽게 배포가 가능하다.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ICK DBD 리뷰 및 사용후기  (0) 2022.02.06
mariaDB - console  (0) 2021.11.02

+ Recent posts